새로새록

12. 무릎관절의 평가법 본문

스포츠의학/해부학.역학.생리학

12. 무릎관절의 평가법

류지나 2020. 6. 16. 15:13

카이로프랙틱

* 무릎관절의 기능 해부학과 평가 및 치료

>무릎골

1.슬개골 2.원위부 대퇴골 용기 3.비골 4.경골 결절

>무릎관절

>무릎과 하지를 구성하는 근육

-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후경골근 tibialis posterior

-장비골근 peroneus longus -단비골근 peroneus bravis

-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제3비골근 peroneus tertius

-가자미근 soleus -비복근 gastroc nemius

>무릎관절의 기능해부학

슬개골을 덮는 인대가 콰드. 콰드가 내려와서 insertion. 무릎을 덮으면서 경골까지 잡으면서 무릎신전근으로 기능하고 있다. 무릎의 뒤쪽으로는 햄스트링이 붙어있다. biceps femoris

슬개골을 덮는 인대가 콰드. 콰드는 대퇴사두근이다. 제일 바깥에 later와 medial, intermedial 등 무릎을 덮으면서 경골 조면부까지 답아서 무릎 신전근으로 기능한다.

무릎의 두쪽으로는 햄스트링근이 붙어있다. 대표적으로 biceps femoris 세마이 페모, 세마이 멤브로. 3가지가 무릎 굽힘을 한다. 경골과 비골에 와서 수축이 되면 무릎을 굽힌다.

햄스트링과 콰드가 적절한 무릎을 확보할 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대퇴사두와 지구와 근파워 비율이 정상범주보다 어긋난다면 근피로가누적되고 운동 효율이 떨어진다.

무릎 손상 후라던지 유착이 되어있거나 굽혀지거나 펴지지 않을 때 불편함을 느낀다. 그렇다면 무릎 부위를 어떻게 관리를 할 수 있을 까?

무릎은 볼록하고 아래 반월판이 concave오목하게 감싸준다. 무릎이 운동역학에서 공부를 하면 볼록한 부분을 움직여서 관절가동성을 시행할 때와, 오목한 부분을 움직여서 관절가동각을 시행할 때 차이가있다. 소위 gliding과 rolling이 반대로 이뤄진다. 이 부위 rolling은 앞쪽으로 움직인다.

>무릎관절의 구조와 기능

>무릎관절

외부-전면부, 후면부, 내측부, 외측부

내부-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전면부

-대퇴사두근의 건 quadriceps tendon

-슬개골 지지 인대 patellar retinacula

>후면부

-빗 오금 인대 oblique popliteal ligament

-활꼴 오금 인대 arcuate popliteal ligament

>내측부

-경골 측부 인대 tibial collateral ligament

대퇴골 내측 융기의 상부에서부터 경골 내측 융기의 하부까지 부착됨.

내측 반월상 연골에 부착됨. 무릎관절낭 내측에 위치하여 관절낭을 지지함.

무릎 관절에 심한 외반작용vaigus이 강제적으로 가해질때 스트레스가 가해짐.

>외측부: 비골(외측) 측부 인대 f fubular(lateral) collateral ligament

대퇴 외측 용기 상부로부터 비골머리 (head of fibula)하부까지 부착함.

섬유성 관절낭의 지지하지 않음

무릎관절에 심한 외반작용varus이 강제적으로 가해질 때 스트레스가 가해짐.

>전방십자인대

-경골이 대퇴골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지지하고 잡아주며, 대퇴골이 경골에서 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지지해줌.

-과도한 외측회전과 외전

>후방십자인대

-경골이 대퇴골에서 후방으로 움직이는 동ㅈ가을 지지하고 잡아주며, 대퇴골이 경골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지지해줌

-높은곳에서 떨어지는 동작과 같은 무릎관절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질 때 파열될 수 있음.

3.무릎관절 평가

(1)능동적 가동범위검사

-굴곡

0점:대퇴부로부터 깊게 뻗은 상태

기준점:무릎

가동범위:135

-신전

0점:대퇴부로부터 깊게 뻗은 상태

기준점:무릎

가동범위:0

(2)무릎관절의 정형외과적 검사

-apley’s compression of grinding test

방법: 환자는 다리를 90로 구부려서 검사 테이블에 엎드려 누움

검사자는 경골과 비골의 원위부 끝쪽을

-apely’s distraction test

방법: 환자는 다리를 90로 구부려서 검사 테이블에 엎드려 누움

검사자는 경골과 비골의 원위부 끝쪽을 움켜쥐고 경골과 대퇴사이의 내측과 외측 반달 연골meniscus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테이블쪽으로 경골을 회전시켜봄

의의: 이 검사가 통증을 유발한다면 반달연골 관절의 손상mensical damage을 나타냄

내측에서의 통증은 내측 반달연골 열

외측에서의 통증은 외측곁인대 medial collateral ligament의 열상tear

-mcmurray’s test

방법: 환자는 중립자세에서 다리를 완전히펴고바로 눕고, 검사자는 한ㅉ고 손으로 환자의 발뒤꿈치를 잡고 완전히 다리를 구부리도록 함

검사자의 다른 손은 손가락이 무릎 내측관러선에 닿게 하고 엄지손가락과 엄지 두덩 부분은 무릎 외측관절 선에 마주하여 닿도록 무릎 위에 올려놓고 무릎 관절을 느슨하게 늦추기 위해 다리를 내측과 외측으로 돌려줌

의의: 이 수기검사가 관절내에서 들릴 수 있을 정도의 딱 하는 소리나 촉진이 가능할 정도로 관절을 튀어나오게 한다면, 내측 반달연골의 열상

대부분 내측 반달연골의 후면부1/2정도가 많이 손상되며, 경골 내측부를 앞쪽으로 회전시키면 위와 유사하게 딱 하는 소리를 낼 것임.

1)운동치료 : 등속성 운동.

일차적으로 ice로 염증을 최소화하고 방어기제로 필요한 정도의 염증을 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물들을 지지할 수 있는 테이핑을 통해 압박이나 탄력밴드로 지지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안정성이 떨어지면, 필요헤 따라 지지와 고정하는 스프린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염증이 관리가 되고, 이부위에 안정성이 어느정도 확보가 되면, 통증한도내의 등척성, 등장성. 또 등속성운동을 이용해서 무릎관절을 신전하고 굴곡하는 대퇴사두근, 햄스트리팅과 콰드-대퇴사두

등속성을 할때 신속성 스트레스를 제어하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주동근이 단추성 운도을 시행할 수 있다. 신전선eccentric은 근손상이 있기 때문에 등속성이 좋다.

2)교정치료

-knee joint-traction-supine

증상: 무릎관절 질환, 무릎을 구부릴 수 있는 환자에게 시행

환자자세: 바로 누운 자세

치료자위치: 선자세로 환부측 반대편에 위치

환자 접촉부: 환자의 다리 오금

치료자 접촉부: 치료자의 위쪽 손의 손목

교정방법: 치료자의 아래쪽 손을 경골의 원위부에 놓음

-knee joint-traction-prone

증상: 무릎관절 질환, 무릎을 구부릴 수 있는 환자에게 시행

환자자세: 엎드려 누운 자세

치료자 위치: 선 자세로 환부측에 위치

환자 접촉부: 환자의 환부측 오금

치료자 접촉부: 치료자의 위쪽 손의 엄지검지 사이망

교정방법: 치료자의 아래쪽 손을 경골의 원위부에 놓음

-knee joint-limited flexion

증상: 무릎관절 질환, 제한된 굴곡 각도를 가진 환자

환자자세: 엎드려 누운 자세

치료자위치: 환부측에서 치료 테이블 뒤쪽의 어느부분이든 편한 곳에 위치

환자 접촉부: 경골 근위부 proximal의 후면

치료자접촉부: 양손의 손가락

교정방향: 뒤쪽 → 앞쪽